감염병 발생예방을 위하여 취약지역 등에 대한 방역을 실시하여 모기,파리등을 구제하고 있으며 감염병이 유행하는 하절기에는 분무소독과 연막소독, 유충방제오 집중적인 방역소독을 실시함.
살충, 살균소독
기간 : 연중
대상 : 쓰레기처리장, 축사주변 등 취약지역, 감염병 발생우려지역, 해수욕장 등 관광지, 숲이우거진 도로변 등
방법 : 분무 및 연막소독
- 해빙기 방역소독
- 기간 : 월동모기 구제 3월 ~ 4월
- 대상 : 소하천, 숱, 쓰레기처리장 등 취약지 분무위주의 소독
- 하절기(취약지 및 일제소독) 방역소독
- 기간 : 4월 ~10월
- 대상 : 하수도, 쓰레기처리장, 가축사육장, 산 또는 도로 주변숲 등 취약지
- 방법 : 주1회(목요일) 분무 및 연막소독
- 관광지 방역소독
- 기간 : 6월 ~9월
- 대상 : 해수욕장 등 관광지
- 방법 : 주1회 분무 및 연막소독
모기유충방제
기간 : 연중
대상
- 생활하수, 축사웅덩이 등 모기서식지
- 방법 : 월1회 유충조사 및 친환경 유충방제약품 살포 ※ 소량의 고인물에서도 모기유충이 서식하므로 웅덩이, 폐축사, 축사밑웅덩이 등의 제거에 군민신고 등 협조가 필요합니다.
- 화장실 정화조
- 대상 : 공공시설, 마을회관, 학교,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 등
- 방법 : 연중 모기유충 구제를 위해 화장실 정화조 환기구에 캡설치 및 유충방제약품 살포
모기유충구제의 효과와 중요성
- 장구벌레(모기유충) 한 마리를 잡으면 모기 500마리 박멸효과
- 모기는 일본뇌염과 말라리아를 옮기는 곤충으로 하절기에 중점 구제하여야 할 해충입니다.
- 장구벌레는 모기의 유충으로 반드시 고인물에 서식하며 7~14일 지난 후 모기가 됩니다.
- 성충 암모기 한 마리가 일생동안 4~5회에 걸쳐 약200~750개의 알을 산란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
- 유충구제작업은 하천이나 하수도, 웅덩이 등 물 고인곳에는 유충 구제 제를 정기적으로 살포하고 공터나 숲 주변에 버려진 폐타이어, 빈깡통, 페트병 등 소규모 용기에 고인물은 제거하며 웅덩이는 매몰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.
- 각 가정에서도 모기유충 서식처를 찾아 제거하면 모기의 발생과 번식을 원천적으로 줄일수 있습니다.
- 예를 든다면 지하보일러실의 폐수저장탱크나 옥상 등에 보관하고 있는 물고인 용기에 유충 구제제를 살포하거나 물을 제거하므로 모기 발생과 번식을 현저 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.
분무소독과 연막소독의 비교
구분 | 분무소독 | 연막소독 | 유충방제 |
---|---|---|---|
장점 | ▶ 해충서식지나 출현장소에 직접 소독액을 살포, 접촉 작용하여 치사 시키는 방법으로 효과가 크다. ▶ 높은 열에 의한 살충제 입자 파괴가 없으므로 보다 좋은 구제 효과를 발휘한다. ▶ 연막 형성이 없으므로 차량이나 왕래하는 사람에게 교통상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. |
▶ 살포 면적이 넓다 ▶ 숲이 우거진 지역과 같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지역에서도 깊숙이 살충된 입자가 도달할 수 있다 ▶ 지하 공간과 같은 밀폐된 곳에서도 적용 할 수 있다 |
▶ 모기 유충을 구제 하므로 유충의 원천적인 방제 효과가 있다 (유충 한마리 구제로 성충 500마리 박멸 효과) ▶ 환경 오염이 없다 ▶ 유충 서식지 제거 등 주민 참여가 용이하다 |
단점 | ▶ 살포 면적이 좁다 | ▶ 가열성, 휘발성이므로 살충제 일부가 파괴되어 약효 감소, 대기 오염을 유발 할 수 있다 ▶소독 시간에 제한(일몰 후, 일몰 전 소독)을 받는다. ▶ 연막 형성으로 교통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|
▶ 유충 구제제 가격이 다소 비싸다 ▶ 유충 서식 유무 조사에 많은 인원이 소요된다(주민 협조 필요) |
소독 의무대상시설 관리
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51조(소독의무) 및 동법 시행령 제24조(소독을 하여야 하는 시설)
소독을 실시하여야 하는 시설의 소독횟수(제36조 제4항 관련)
소독을 해야 하는 시설의 종류 | 소독횟수 | |
---|---|---|
4월~9월 | 10월~3월 | |
|
1회 이상/ 1개월 |
1회 이상/ 2개월 |
|
1회 이상/2개월 | 1회 이상/3개월 |
|
1회 이상/3개월 | 1회 이상/6개월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