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산리
연혁
- 1896년 행정구역 개편 시 기좌면이라 하여 지도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지도군의 폐지로 무안군에 편입됨
- 1917년 기좌면에서 안좌면으로 개칭함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됨
형성
- 1650년 원주이씨 이상만이 이주 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형이 거문고형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금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금산(芩山) | 1650년경(효종대) | 원주이씨(이상만) | 해남(마산) | 지형이 거문고형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제섬 | 1850년경(철종대) | 금성임씨(임분돌) | 안좌도(대척) | 지형이 돼지형이라 하여 저도(猪島)라 부르다가 이후 제섬이라 개칭하였다. |
탄동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탄동리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10월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50년경 원주이씨 이상환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숯을 굽던 골짜기라 하여 전에는 숯고랑, 숯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한자어로 표기시에 탄동이라 하였다.
탄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탄동(炭洞) | 1650년경(효종대) | 원주이씨(이상환) | 해남(마산) | 숯을 굽던 골짜기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산두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여흘리 일부를 합하여 산두리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800년경 전주이씨 이영득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형이 말(斗)의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산두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산두(山斗) | 1800년경(정조대) | 전주이씨(이영득) 밀양박씨, 경주이씨 해주최씨 |
안좌도(소척) | 마을이 산 밑에 위치하며 지형이 말(斗)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복호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대리 일부를 합하여 복호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730년경 경주정씨 정상원이 최초 입도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에 큰 바위가 있어 감바위라 부르다가 지형이 엎드린 범의 형국이라 하여 복호라 개칭하였다.
복호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복호(伏虎) | 1730년경(영조대) | 경주정씨(정상원) | 해남 안좌(대리) |
지형이 엎드린 범의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양골 | 1650년대(효종대) 1900년경(광무대) |
김해김씨(김인기) 김해김씨(김주곤) |
해남(산일) 안좌도(대척) 장산면 |
마을이 두 골짜기의 밑에 위치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대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산두, 존포마을의 각 일부를 합하여 대리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이씨, 오씨가 최초 입도하였다고 하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. 이후 1660년대에 경주정씨 정도소가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가장 큰 마을이라 하여 전에는 큰몰, 큰말이라 부르다가 이후 대리로 개칭하였다.
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대리(大里) | 1660년대(현종대) | 경주정씨(정도소) | 해남 | 큰 마을이라 하여 큰몰, 큰말 대리라 붙여진 지명이다. |
자라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자라면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이 분군되어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한양조씨, 장수황씨, 밀양이씨, 남평문씨, 천안전씨, 동복오씨, 연안차씨, 진주강씨, 김해김씨, 경주김씨 순으로 들어와 마을을 이루고 정착하였다고 함
지명유래
- 자라도는 본섬의 지형이 자라를 닮았다는 데서 붙여진 지명임
자라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자라(者羅) | 조선 중기로 추정 (1506~1637년 경) |
한양조씨, 장수황씨 밀양이씨(이기종), 남평문씨(문한관) |
해남, 안창도 등 | 지형이 자라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증산(甑山) | 마을 동남쪽의 산이 시루를 엎어 놓은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 |||
휴암(鵂巖) | 마을의 뒷산 바위 모양이 부엉이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존포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부소마을을 합하여 존포리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최초로 이씨가 이주해왔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. 이후 1800년경에 이천서씨가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 앞에 작은 개가 있었다하여 종개라 부르다가 이후 존포로 개칭되었다.
존포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존포(存浦) | 1800년경(정조대) | 이천서씨(서수유) | 안좌도(마진) | 마을 앞에 작은 개가 있었다하여 종개라 부르다가 이후 존포로 개칭되었다. |
부소(扶所) | 1628년경(인조대) | 경주이씨(이석용) | 영암 | 인접 도서의 부속 도서라 하여 부소도라 부르다가 이후 부소로 개칭하였다. |
향목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탄진, 신촌, 대리, 소흘마을의 일부를 합하여 향목이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740년경 김해김씨 김태옥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 앞에 향나무가 자생한다 하여 전에는 향낭그미, 향목동리라 부르다가 이후 향목이라 부르게 되었다.
향목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향목(香木) | 1740년(영조16) | 김해김씨(김태옥) | 영광(백석) | 마을 앞에 향나무가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학하(鶴下) | 1850년경(철종대) | 김해김씨(김중우) | 안좌도(향목) | 향목 북쪽에 있는 마을로서 학이 잘 내려와 앉았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여흘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여흘이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00년경 경주김씨 김정남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 서쪽에 있는 개울이 열목이라 하여 물살이 세게 흐르는 여울가로서 마을이 큰 산 밑에 위치하여 다른 마을보다 높은 곳에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여흘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여흘(如屹) | 1600년경(선조대) | 경주김씨(김정남) | 나주 | 여울가로서 큰 산 밑에 마을이 위치하여 다른 마을보다 높은 곳에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남강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등마을을 합하여 남강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50년경 현풍곽씨, 나주오씨가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기좌 남쪽 갯가가 되므로 남강이라 하였으며 전해온 말에 의하면 옛날에 국마(國馬)를 놓아 길렀다 하여 마등(馬嶝)이라 하였다고 한다.
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마등(馬嶝) | 1650년(효종1) 1650년경(효종대) |
나주오씨(오배석) 헌풍곽씨(곽사언) |
전북(고창) | 국마를 놓아 길렀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열등 | 1750년경(영조대) | 김해김씨(김운정) | 안좌도(읍동) | 안창을 건너 다니는 나룻가로서 마을 앞에 여울이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대척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소척마을을 합하여 대척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최초로 진주하씨가 이주해 왔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정확한 내역은 알 수가 없다. 이후 1690년경에 반남박씨가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 뒷산 척산의 큰 마을이므로 전에는 큰잣매라 부르다가 대척이라 개칭하였다.
대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대척(大尺) | 진주하씨 | 마을 뒷산 척산의 큰 마을이므로 큰잣매라 부르다가 이후 대척으로 개칭하였다. | ||
소척(小尺) | 1690년경(숙종대) | 반남박씨(박필호) | 척산 밑의 작은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창마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창마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됨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730년 청주한씨 한윤화가 최초 입도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창마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창마(唱馬) | 1730년경(영조대) | 청주한씨(한윤화) | 해남(화원) | 말이 춤추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원두 | 1860년경(철종대) | 김해김씨(김언권) | 안좌도(마명) | 창마 서쪽의 마을로서 언머리쪽이 된다 하여 원머리라 부르다가 이후 원두라 개칭하였다. |
소곡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두리, 구대마을 일부를 합하여 소곡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720년경 전주이씨 이용호가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둥근 산 밑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두루메라 부르다가 이후 두리라 개칭하였다.
소곡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두리 | 1720년경(숙종대) | 전주이씨(이용호) | 팔금도 | 둥근 산 밑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두루메 또는 두리라 하였다. |
소곡 | 1640년경(인조대) | 경주정씨(정춘경) | 곡성, 해남 | 넓은 들이 있고 마을 뒤에는 골짜기로 되어있다 하여 바실이라 부르다가 이후 소곡으로 개칭하였다. |
박지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자라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박지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됨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700년경 김해김씨 김성택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형이 박형국이라 바기섬, 배기섬, 배기라 부르다가 이후 박지라 개칭하였다.
박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박지 | 1700년경(숙종대) | 김해김씨(김성택) | 안좌도(남강) | 마을의 형국이 박(바가지)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반월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자라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토촌마을를 합하여 반월리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70년대 인동장씨 장남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형이 반달형이라 하여 처음에는 반월이라 하였으며 가장 큰 마을이라 하여 큰몰, 대리라고도 부르고 있다.
반월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반월(半月) | 1670년경(현종대) 1750년경(영조대) |
인동장씨(장남) 경주최씨(최두홍) |
경상도(인동) 영암(시종) |
지형이 반달형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퇴촌 | 1770년경(영조대) | 김해김씨(김문필) | 안좌도(대리) | 지형이 반월도를 바라보는 옥토끼 같다 하여 토촌(免村)이라 부르다가 퇴촌이라 개칭되었다. |
구대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우목도 두리마을의 일부지역을 합하여 구대라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하였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천씨, 박씨, 오씨가 이주하여 살았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. 이후 1740년대 동복오씨 오윤진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옛날부터 사람이 살았던 집터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구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구대(舊垈) | 1740년(영조16) | 천씨, 박씨 동복오씨(오윤진) |
팔금도 | 옛부터 사람이 살았던 집터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내우목(內牛目) | 1730년경(영조대) | 안씨, 오씨 김해김씨(김운정) |
영암(구림) | 마을 지형이 소의 눈처럼 생겼으며 안쪽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외우목(外牛目) | 1740년경(영조대) | 김해김씨(김장서) | 내우목 | 마을 지형이 소의 눈처럼 생겼으며 위치가 바깥쪽이 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마명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명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60년경에 진주정씨 정기원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매봉산 밑 들 옆이 되므로 전에는 매우리, 매워리라 불렀으나 매봉산 초장에서 키운 말의 울음소리가 잦다하여 마명이라 개칭하였다.
마명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마명(馬鳴) | 1660년경(현종대) | 진주정씨(정기원) | 보성 | 매봉산 밑 들 옆이 된다하여 매우리, 매워리라 부르다가 이후 말의 울음소리가 잦다 하여 마명이라 개칭하였다. |
신촌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치동을 합하여 신촌이라 해서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60년경 나주오씨 형제가 기좌면으로 이주하여 동생인 오백석은 읍동으로, 형인 오용석은 신촌으로 이주․정착하고 김해김씨 김상윤이 이후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이 새로 형성되었다 하여 새몰이라 부르다가 이후 신촌이라 개칭하였다.
신촌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신촌(新村) | 1660년경(현종대) | 나주오씨(오용석) | 전북(고창) | 마을이 새로 형성되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대금 | 1830년(순조30) | 김해김씨(김윤상) | 안좌도(읍동) | 지형이 꿩머리 형국이라 하여 치동(雉]洞)이라 부르다가 이후 대금이라 개칭하였다. |
대우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소우동, 비화마을을 합하여 대우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형성
-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최초로 추씨가 이주해 왔다고 하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. 이후 1750년경 경주최씨 최두성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대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대우(大芋) | 1750년경(영조대) | 경주최씨(최두성) | 영암(시종) | 부엉이가 많은 큰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비화(飛和) | 1800년경(정조대) | 경주최씨(최창수) | 안좌도(대우) | 지형이 사두처럼 생겼다 하여 비아목이라 부르다가 이후 비하라 개칭하였다. |
방월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전진, 한운마을의 일부를 합하여 방월리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선사유물인 지석묘 41기가 집중 분포되어 있어 사람이 거주한 시기는 약 2천여년 전으로 추정된다. 이후 1670년경에 경주정씨 정우일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전에는 달이 뒷산인 봉산에 걸리는 마을이라 하여 방월(傍月)이라 부르다가 이후 방월(方月)로 개칭하였다.
방월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방월(方月) | 1670년경(현종대) | 경주정씨(정우일) | 장산도 | 달이 뒷산인 봉산에 걸리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전진(前進) | 1680년(숙종6) 1780년(정조4) |
번남박씨, 장택고씨 김해김씨(김기탁) |
마을 둿산인 진머리 바깥쪽이 된다 하여 발진머리라 부르다가 이후 전진이라 개칭하였다. |
내호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외호리를 합하여 내호라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60년경 밀양손씨 손명세가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소와섬의 안쪽 섬이라 하여 안소라 부르다가 내호라 개칭하였다.
내호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내호(內湖) | 1660년경(현종대) | 밀양손씨(손명세) | 비금도 | 소와섬(송도)의 안쪽 섬이라 하여 안소라 부르다가 이후 개칭하였다. |
외호(外湖) | 1670년경(현종대) | 단양우씨(우명회) | 영암(서호) | 소와섬의 바깥쪽이 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한운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사치마을을 합하여 한운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형성
- 1690년경 김해김씨 김연이 최초로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 위치가 서쪽(하늬)에 있다하여 하누이라 부르다가 이후 한운이라 개칭하였다.
한운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한운(閑雲) | 1690년경(숙종대) | 김해김씨(김연) | 해남 | 마을이 서쪽(하늬)에 위치한다하여 하누이라 부르다가 개칭하였다. |
사치(沙雉) | 1630년경(인조대) | 하동정씨(정운백) | 해남(옥천) | 모래가 많은 곳으로 지형이 꿩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시서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시동마을을 합하여 시서리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에서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740년경 해주오씨 오동흥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에 감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감나무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서쪽 마을이라 하여 시서라 개칭하였다.
시서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시서(柿西) | 1740년경(영조대) | 해주오씨(오동흥) | 나주 | 마을에 감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감나무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시서로 개칭하였다. |
오동 | 1820년경(순조대) | 파평윤씨(윤갑규) | 비금도(덕산) | 오동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읍동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와우마을을 합하여 읍동리라 해서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60년경 나주오씨 오백석이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의 위치가 골짜기 안쪽이라 하여 전에는 골안이라 부르다가 이후 면의 중심 마을이라 하여 읍동이라 개칭하였다.
읍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읍동(邑洞) | 1660년경(현종대) | 나주오씨(오백석) | 전북(고창) | 마을 위치가 골짜기 안이라 하여 골안이라 부르다가 이후 읍동으로 개칭하였다. |
연진 | 1760년경(영조대) | 나주오씨(오흥원) | 안좌도(읍동) | 마을 앞에 배가 드나들었다고 하여 배너리 또는 연진이라 하였다. |
앞너리 | 1960년 | 김해김씨(김창기) | 안좌도(읍동) | 앞에 나루가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와우(臥牛) | 1690년경(숙종대) | 나주오씨(오성원) | 안좌도(남강) 안좌도(읍동) |
지형이 소가 한가로이 누워있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마진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광남, 시동마을의 일부를 합하여 마진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형성
- 1780년경 양성이씨 이강하의 아들 이창무가 팔금 대심에서 분가하여 이곳에 이주, 정착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말 모양으로 된 섬이고 나루가 있으므로 전에는 몰나리, 몰노리, 모노리라 부르다가 이후 마진이라 개칭하였다.
마진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마진(馬津) | 1780년경(정조대) | 양성이씨(이창무) | 팔금도(대심) | 전에는 몰나리, 몰노리, 모노리라 부르다가 이후 마진이라 개칭하였다. |
광암(廣岩) | 1730년경(영조대) | 전주최씨(최운성) | 팔금도 | 넓은 바위가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'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'에 따라 본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와 저작권자 표시를 해야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