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운리
연혁
- 본래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고교리, 둔장리를 합하여 한운이라 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됨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됨
형성
- 1478년(성종 9)에 성도영이 최초로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형이 구름 가운데 있는 반달과 같은 형국이라 하여 한운이라 하였다.
한운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한운(閑雲) | 1478년(성종9) | 창녕성씨(성도영) | 지도 | 지역의 생김새가 구름 가운데 있는 반달과 같은 형국이라 하여 옛부터 한운이라 하였다. |
둔장(屯長) | 1447년(세종29) 1725년(영조1) |
고성이씨(이행윤) 진주강씨(강기삼) |
지도 영광(불갑) |
마을 서북쪽 고도(姑島)에 할미바위가 있어 마을 주민들이 장수한다 하여 둔장이라 붙여진 지명이다. |
고교(古橋) | 1476년(성종7) | 창녕성씨 (성초의 두 아들) |
지도 자은도 |
마을 동쪽 500m 떨어진 지점에 감두(坩頭)가 있어 교량 역할을 한다 하여 옛다리라 칭하다가 이후 한문으로 표기 시에 고교라 개칭하였다. |
송산리
연혁
-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두모리를 합하여 송산이라 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26년 제주 양씨양경수가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둿개 옆에 위치한다 하여 뒷개 또는 후포라 부르다가 이후 뒷산에 소나무가 많다 하여 송산이라 개칭하였다.
송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송산(松山) | 1626년(인조4) | 제주양씨(양경수) | 제주 | 학이 알을 낳는 곳이라 하여 학소동(鶴所洞)이라 부르다가 이후 학이 소나무에서 서식한다 하여 송산이라 개칭. |
다산(多山) | 1836년(현종2) | 천안전씨(전덕환) | 안좌 | 마을이 많은 산 속에 위치한다 하여 다산이라 칭하였다. |
두모(斗毛) | 서흥김씨(김성일) | 암태 | 중국인 두사춘이 마을 서편에 올라 분계리 음암산을 관광하고 영산이라 감탄하여 당숙제능에 올라 춤을 추었다고 하여 두무동(斗舞洞)이라 하였다가 두모라 개칭하였다. |
대율리
연혁
-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대율리라 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되었다.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되었다.
형성
- 1716년 보성선씨 선상춘이 이주해오고 이후 양천허씨 허열이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1851년(철종 2)부터 1876년(고종 13)까지는 한야리(寒夜里)라 부르다가 1877년(고종 14)에 지나던 도승이 마을 앞 동산이 큰 밤 형국이니 대율리(大栗里)라 하라 하여 개칭된 지명이다.
대율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대율(大栗) | 1716년(숙종42) | 보성선씨(선상춘) | 무안 | 1851년부터 1876년까지는 한야리(寒夜里)칭하다가 1877년 때부터 마을의 모양이 밤형국이라 하여 대율리라 칭하였다. |
신흥(新興) | 1753년(영조29) | 인동장씨(장인원) 밀양박씨, 김해김씨 |
비금도(임리) | 마을 앞 3개의 무인도의 모양이 자라형이라 하여 자라지라 부르다가 마을이 새로 생겼다 하여 신흥이라 개칭하였다. |
진천(眞泉) | 1671년(현종12) | 김해김씨(김근수) 밀양박씨, 나주나씨 |
전주 | 참새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진천으로 개칭되었다. |
유천리
연혁
- 본래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욕지도를 합하여 유천이라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됨
형성
- 1545년 이천서씨 서수성이 이곳에 유배하여 정착하므로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의 냇가에 버드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다 하여 유천이라 붙여진 지명이다.
유천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유천(柳川) | 1545년(인종1) | 이천서씨(서수성) | 비금면 | 수양버드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어 예전에는 버드네골이라 부르다가 한자로 표기 시에 유천이라 개칭하였다. |
욕지(浴池) | 1636년(인조14) | 순흥안씨(안춘신) | 비금면 | 중국인 두사춘이 말하기를 바다 가운데 떠 있는 섬들이 못 가운데 떠 있는 연꽃 봉우리와 같다 하여 전에는 연화옥지라고 부르다가 이후 욕지라 개칭하였다. |
창촌(倉村) | 1560년(명종15) | 인동장씨(장기화) 밀양박씨, 김해김씨 |
강진 | 지역에서 수납한 세금인 곡물을 보관하는 창고가 있었다 하여 창촌이라 칭하였다. |
유각리
연혁
- 본래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금포리, 백길리를 합하여 유각리라 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됨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됨
형성
- 해마다 정월 대보름날이면 놋다리밟기를 하였다 하여 놋다리라 부르다가 이후 유각리라 개칭하였다.
지명유래
유각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유각(鍮脚) | 1598년(선조31) | 경주최씨(최원주) | 해남(마산) | 해마다 정월 대보름날에 놋다리 밟기를 했다 하여 놋다리라 부르다가 이후 한자로 표기 시 유각이라 개칭하였다. |
남진(南津) | 1926년 | 경주최씨(최봉준) | 자은도(유각) | 면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해상 교통의 관문인 부두가 있었으므로 남진이라 하였다. |
장제(長堤) | 1707년(숙종33) | 동복오씨 | 자은도(유각) | 본래 유각마을에 속했으나 마을의 지형지세가 대장간의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문평(文坪) | 1772년(영조48) | 경주최씨(최겸홍) | 자은도(한운) | 마을 뒷산 벽의 바위가 큰 병풍을 둘러쳐 놓은것 같다 하여 흑병(黑屛)이라 부르다가 이후 문평으로 개칭하였다. |
금포(金浦) | 1636년(인조14) | 현풍곽씨(곽익지) | 제주도 경상도 |
지형이 분지형으로 되어있어 금포(琴抱)라 칭하다가 뒷산에서 금이나오고 바닷물이 마을 앞까지 들어오는 포구라 하여 금포(金浦)라 하였다. |
백길(白吉) | 1687년(숙종13) | 경주최씨(최근호) | 자은(구영) | 지나는 배가 풍랑을 만나면 여기에서 머물다 간다 하여 뱃길이라 칭하다가 이후 백길(白吉)로 개칭하였다. |
면전리
연혁
- 본래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면전리라 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됨
형성
- 1607년 김해김씨가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형이 면견형(眠犬形)이라 하여 면구래(眠拘來)라 부르다가 이후 마을에 목화를 많이 재배하면서 면전(綿田)이라 개칭하였다.
면전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면전(綿田) | 1626년(인조4) | 단양우씨(우초선) 단양우씨(우선) |
강원도 충북(보은) |
이곳의 지형이 면견이라 하여 면구래라 부르다가 목화를 많이 재배한다 하여 면전으로 개칭하였다. |
구래(九來) | 1607년(선조40) | 김해 김씨 | 지형이 면견형(眠犬形)이라 구래(枸來)라 부르다가 이후 구래(九來)로 개칭하였다. |
백산리
연혁
- 본래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와우리, 분계리를 합하여 백산리라 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되었다.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됨
형성
- 1679년 달성배씨 배득남이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이 흰 모래로 되어 있다 하여 백산리라 칭하였다.
백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백산(白山) | 1679년(숙종5) | 달성배씨(배득남) | 진도 | 해변을 끼고 있는 마을 전체가 흰 모래로 되어 있다 하여 백산이라 하였다. |
와우(臥牛) | 1656년(효종7) | 신창표씨(표기수) | 경남 의령 | 지형이 소가 누워 있는 형상이라 하여 와우라 칭하였다. |
신성(新城) | 1806년(순조6) | 진주강씨(강을유) | 비금면 | 조수간만의 차로 분리 또는 연결된다 하여 분계라 칭하다가 1960년부터 신성으로 개칭함. |
분계(分界) | 1598년(선조31) | 김해김씨(김첨하) | 조수간만의 차이로 만조 시는 분리되고 간조 시는 연결되는 경계가 되므로 분계라 하였다. |
구영리
연혁
- 본래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장고리를 합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속함
형성
- 1566년 청주양씨 양우삼이 근위장군으로 있다가 이곳에 유배되어 정착하므로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영(營)을 설치하여 군마를 기르고 사병을 훈련하는 요지로써 전에는 당포(唐浦)라 부르다가 1441년(세종 23)에 구영이라 개칭하였다.
구영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구영(旧榮) | 1566년(명종21) | 청주양씨(양우삼) | 옛 영무가 있는 곳이라 하여 당포라 부르다가 1441년에 구영이라 개칭하였다. | |
장고(長庫) | 1600년(선조33) | 김해김씨(김기룡) | 경남(창원) 비금도 |
마을 북쪽에 위치한 긴 섬인 구영마을과 고장마을의 창고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고장리
연혁
- 본래 지도군 자은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내기리, 외기리를 합하여 고장리라 하여 무안군 자은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427년 고성이씨가 자은면 내기리에 최초 입도하여 마을 형성
지명유래
- 옛날에는 북치고 노는 마당이란 뜻으로 고장(鼓場)이라 부르다가 이후 사장(射場) 옛터였다 하여 고장(古場)이라 개칭하였다.
고장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고장(古場) | 1926년 | 전주이씨(이은존) 해주최씨(최덕운) |
영광, 지도 | 옛날에는 북치고 노는 마당이란 뜻으로 고장(鼓場)이라 부르다가 이후 옛 사장(射場)터가 있다 하여 고장(古場)이라 개칭하였다. |
사월포 (沙月浦) |
1836년(헌종2) | 밀양박씨(박명진) | 비금도 옥도 |
마을 동남쪽에 명사십리가 펼쳐 있고 규사가 많아 화물선이 왕래하는 포구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외기(外基) | 1641년(인조19) | 밀양박씨(박상령) | 여주 | 옛날에는 지형이 개가 도사리고 있는 모습이라 하여 대구지(垈拘地) 또는 웅견네라 부르다가 마을 바깥쪽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외기라 칭하였다. |
내기(內基) | 1427년(세종9) | 고성이씨 | 외기와 같은 마을로서 안쪽에 있는 터라 내기라 부르며 옛날에는 자견 마을이라고 불렀다. |
'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'에 따라 본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와 저작권자 표시를 해야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