발매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월포마을 일부를 합하여 발매리라 하여 무안군 도초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598년 한양조씨 조상숙, 조한영 형제가 이주 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형이 매화꽃이 만개한 모습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발매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발매(發梅) | 1650년(효종1) | 함양박씨(박순흠) | 영암(구림) | 마을의 모양이 매화꽃이 피어있는 모습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. |
화도(火島) | 1598년(선조31) | 한양조씨(조상숙) | 도초 도(월포) | 옛날에는 독립된 섬으로써 현 선착장 자리에서 불을 피어 나룻배를 이용하였다 하여 불섬이라 부르다가 화도로 개칭하였다. |
월포(月浦) | 1598년(선조31) | 한양조씨(조한영) | 장성(북일) | 마을로 들어가려면 개울과 뻘등을 넘는다 하여 월포(越浦)라 부르다가 이후 월포(月浦)라 개칭하였다. |
춘경(春耕) | 1658년(효종9) | 함양박씨(박세경) | 영암 | 봄이면 전답을 일구기 위해 땅을 갈고 씨앗을 뿌려 농사를 짓는다 하여 춘경이라 붙여진 지명이다. |
지남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죽도와 발매리, 남리의 각 일부를 합하여 지남리라 하여 무안군 도초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598년 한양조씨 조한홍과 밀양박씨 박창선이 이주 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의 집들의 좌향이 남쪽으로 향해 있다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지남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지남(指南) | 1598년(선조31) | 한양조씨(조한홍) 밀양박씨(박창선) 경주최씨 |
장성(북일) 해남 경북(군위) |
마을의 집들의 좌향이 남쪽으로 향해 있다 하여 지남이라 하였다. |
지북(指北) | 1598년(선조31) | 한양조씨(조한성) | 장성(북일) | 본래 지남마을이었으며, 북쪽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지동(指東) | 1608년(선조41) | 경주김씨(김서량) 경주최씨(최옥만) |
해남, 우이도 해남(화산) |
원래 지남마을이었으며 인구 증가로 분리하여 운영상 지동리가 되었다. |
죽도(竹島) | 1598년(선조31) | 달성배씨(배진석) | 전남(광주) | 옛날에는 대나무가 많고 물때따라 연륙 또는 섬이 되는 목이 된다 하여 대목섬이라 부르다가 이후 죽도라 개칭되었다. |
외남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수항, 궁항, 발매, 지남마을의 각 일부를 합하여 외남리라 하여 무안군 도초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598년 김해김씨 김치우가 이곳으로 이주 정착하여 최초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남리 바깥쪽의 마을이므로 외남리라 붙여진 지명이다.
외남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외상(外上) | 1718년(숙종44) | 장흥고씨(고시락) | 도초(죽련) | 지남마을 밖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외남이라 부르다가 이후 외상으로 개칭하였다. |
외하(外下) | 1598년(선조31) | 김해김씨(김치우) | 전북(남원) | 지남마을 밖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외남이라 부르다가 이후 외하로 개칭되었다. |
신촌(新村) | 1925년 | 장흥고씨(고장안) 장흥고씨(고정언) |
도초(외상) | 1953년 피난민들이 이주해와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 신촌이라 칭하였다. |
수항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궁항, 오류마을의 각 일부를 합하여 수항리라 하여 무안군 도초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638년 제주한씨 한충언과 남평문씨 문일득, 문일성이 이주 정착하여 마을을 형성하였다.
지명유래
- 마을이 물이 흐르는 어귀가 됨으로 전에는 물목이라 부르다가 이후 수항이라 개칭하였다.
수항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수항(水項) | 1638년(인조16) 1688년(숙종14) |
제주한씨(한충언) 남평문씨(문일득) 남평문씨(문일생) |
영암 보성, 보성 |
마을 맞은 편에 있는 큰 산의 형상이 마치 화(火)자로 보인 다 하여 그 방지책으로 수(水)자를 써서 수항이라 하였다. |
궁항(弓項) | 1708년(숙종34) | 경주최씨(최우명) | 해남 장산도 |
활(弓)의 목에 마을이 위치하여 활목이라 부르다가 이후 한자 표기 시에 궁항이라 개칭하였다. |
나박포 (羅泊浦) |
1838년(헌종4) | 김해김씨(김영국) | 흑산도 | 마을 입구에 개울이 있어 나박포라 칭함. |
죽련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신교, 수항마을 일부를 합하여 죽련리라 하여 무안군 도초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최초로 임(林)씨가 이주해왔다가 구전되고 있으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. 이후 김해김씨 김래학이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대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죽련이라 붙여진 지명이다.
죽련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신교(莘郊) | 1658년(효종9) | 김해김씨(김계원) 광산노씨(노치강) 낭주최씨(최시관) |
영암 광산 비금도 영암 |
옛날 이 마을은 초생지로서 약초인 삐비가 많이 자생하는 들녁이라고 하여 신교라 붙여진 지명이다. |
죽련(竹連) | 1628년(인조6) | 임(林)씨 김해김씨(김래학) |
해남 | 마을에 대나무가 많이 자란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고란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만년마을 일부지역을 합하여 고란리라 하여 무안군 도초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598년 장흥고씨 고창유가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옛날에는 난초가 많이 자란다 하여 고란이라 붙여진 지명이다.
고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고란(古蘭) | 1598년(선조31) | 장흥고씨(고창유) 김해김씨, 창원황씨 |
미상 | 옛날에는 난초가 많이 자란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난말(蘭末) | 1598년(선조31) | 창원황씨 | 미상 | 고란리 끝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오류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오류리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598년 경주최씨 최운기가 최초로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옛날에는 마을에 버드나무가 많이 자란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오류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오류(五柳) | 1650년(효종1) | 김해김씨(김윤금) | 영암 | 마을에 버드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엄목(奄木) | 1786년(정조10) | 원산이씨(이유현) | 영암 | 옛날에는 마을에 엄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시목(柿木) | 1598년(선조31) | 경주최씨(최운기) | 해남 화산 | 옛부터 감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이곡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도락마을을 합하여 이곡리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1568년 김해김씨 김철이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에 배나무가 많이 자생하므로 배낭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이곡이라 개칭하였다.
이곡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이곡상 (二谷上) |
1640년(인조18) | 남평문씨(문이장) | 남평 | 고란, 만년마을 쪽에서 뻗어 내리는 두 줄기 산 계곡 아래 위치한다 해서 이곡리라 하였는데 이후 개칭하여진 지명이다. |
이곡하 (二谷下) |
1657년(효종8) 1657년(효종8) 1748년(영조24) |
김해김씨(김철) 밀양박씨(박수방) 장흥고씨 (고사은, 고사음) |
영암, 경남 장흥 |
〃 |
조진(鳥陣) | 1748년(영조24) | 장흥고씨(고사길) 김해김씨 |
장흥 | 전에는 대벌 또는 큰벗이라 부르다가 이후 마을 지세가 새의 둥지 같다 하여 조진이라 개칭하였다. |
소신(小信) | 1650년(효종1) | 안동권씨(권소봉) | 해남 | 소 장사가 육지에서 산 소를 이곳에서 많이 싣고 나갔다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. |
만년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한발, 도락마을의 일부를 합하여 만년리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도초면 편입
형성
- 최초로 임씨가 이주해 왔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. 이후 1630년 김해김씨 김서홍의 장남인 김명흥이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만년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만년(萬年) | 1630년(인조8) | 임씨 김해김씨(김명흥) |
해남(화산) | 옛날에는 밤나무가 많아서 밤석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만년이라 개칭하였다. |
도락(道樂) | 1630년(인조8) 1630년(인조8) |
평산신씨(신덕모) 김해김씨(김서홍) |
하의도 해남(화산) |
옛날에는 되내기라는 방실을 쓰다가 미곡이 외부로 유출된다 하여 이후 도락으로 개칭하였다. |
한발(閑發) | 1750년경(영조대) 1640년경(인조대) |
배씨, 장흥고씨(고창유) 함양박씨(박세문) |
담양, 영암 | 마을의 형상이 매화꽃을 닮았고, 이 꽃은 한가할 때 핀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수다리
연혁
- 본래 진도군 도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용동마을을 합하여 수다리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형성
- 김해김씨 김윤모가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전답이 많다 하여 옛날에는 건들 또는 건야라 부르다가 이후 수답(水沓)이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붙여진 지명이다.
수다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용동(龍洞) | 김해김씨(김윤모) 경주최씨 |
하의도 | 마을 뒷산의 모양이 용과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 |
수다(水多) | 1724년(경종4) | 허씨, 배씨 함양박씨(박세문) 파평윤씨(윤지하) |
영암, 장성 | 물이 귀한 마을이라 옛날에는 건들, 건야라 부르다가 마을명을 수다로 고치면 물이 많아진다 하여 수다로 개칭하였다. |
명당(明堂) | 함얀박씨(박용권) 함양박씨(박정훈) 함양박씨(박정민) |
영암(구림) 도초도(발매) |
명당을 찾는 사람들이 있어 이 마을을 명당이라 불렀다. | |
나포(羅布) | 1598년(선조31) | 파평윤씨(윤덕오) 김해김씨, 밀양박씨 |
강진 | 옛날에는 베널리라 부르다가 이후 무명베를 많이 널었다 하여 나포라 개칭하였다. |
우이도리
연혁
- 1896년 지도군 흑산면에 편입된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진리, 성촌, 비두, 저두, 소우이도를 합하여 무안군 흑산면에 편입되었다. 1962년 11월 21일 법령 제117호에 의하여 무안군 도초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 도초면에 편입
형성
- 1608년 경주김씨 김옥승이 최초로 이주 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지형이 소(牛) 귀 모양이라 하여 소구섬, 소구 또는 우개도라 부르다가 이후 한자어로 표기 시 우이도라 개칭하였다.
우이도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진리(鎭里) | 1608년(선조41) 1638년(인조16) 1640년(선조 18) |
경주김씨(김옥승) 청주한씨(한두식) 남평문씨(문일장) |
해남 영암 도초도 |
흑산도 진리의 명칭을 따서 붙여진 지명. |
저항(著項) | 1720년(숙종46) | 밀양박씨(박태원) 밀양박씨(박태람) |
도초도 | 마을형상이 돼지머리 같다 하여 붙여진 지명. |
동서(東西) | 1620년(광해군12) | 동복오씨(오석동) | 해남(계곡) | 마을이 동서로 나눠져 있다고 붙여진 지명. |
예리(曳里) | 1620년(광해군12) | 동복오씨 | 동서 | 흑산도 예리의 명칭을 따서 붙여진 지명. |
선창구미 | 김해김씨 | 도초도 | 선창 끝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. | |
대초 | 파평윤씨 | 도초도(수다) | 마을에 대추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. | |
성촌 | 밀양박씨 | 도초도 | 흑산도의 성촌마을의 명칭을 따서 붙여진 지명. | |
죽도 | 1801년(순조1) | 상원김씨 동복오씨 |
우이도(예리) | 옛날에는 대나무가 많이 자생한 마을이라 하여 죽도라 붙여진 지명이다. |
'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'에 따라 본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와 저작권자 표시를 해야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