읍리
연혁
- 본래 완도군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산두, 덕진, 장목, 이목, 당고마을의 일부를 병합하여 읍리라 하여 무안군 팔금도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무안군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- 1980년 면으로 승격되어 팔금면으로 편입
형성
- 1688년 양성이씨가 최초 입도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골짜기 안이라 하여 골안이라 부르다가 이후 읍동이라 개칭하였다.
읍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읍리(邑里) | 1588년경(선조대) | 양성이씨 | 골짜기 안에 위치한다 하여 골안이라 부르다가 이후 읍리라 개칭하였다. | |
읍산두 (邑山頭) |
1630년경(인조대) | 양성이씨, 진주강씨 김해김씨 |
팔금도(읍리) | 산골짜기 뒤에 있는 산등 위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뛰섬 | 양성이씨 | 읍리 | 잔디가 많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대심리
연혁
- 본래 완도군 팔금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소심, 대산두마을을 병합하여 대심이라 하여 무안군 팔금도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- 1980년 면으로 승격되어 팔금면에 편입
대심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대심(大深) | 1638년경(인조대) | 이천서씨 | 큰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 |
소심(小深) | 1638년경(인조대) | 이천서씨 | 팔금도(대심) | 작은 골짜기에 있는 작은 마을이라 하여 작은 몰이라 부르다가 이후 소심이라 하였다. |
대산두 (大山頭) |
1648년경(인조대) | 이천서씨 | 팔금도(소심) | 마을 큰 산 위에 위치하므로 붙여진 지명이다. |
원산리
연혁
- 본래 완도군 팔금도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서근, 북진, 장목마을의 일부를 합하여 원산이라 하여 무안군 팔금도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- 1980년 면으로 승격되어 팔금면에 편입
형성
- 1588년경 방씨가 최초로 이주해왔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. 이후 김해김씨와 한양조씨가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 뒤편에 좋은 명산이 자리잡고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원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원산(元山) | 1588년경(선조대) | 방씨 한양조씨, 김해김씨 |
팔금도 | 경치와 형세가 좋은 명산이 있다 하여 원산이라 붙여진 지명이다. |
장목(長目) | 1594년경(선조대) | 한양조씨 | 팔금도 | 긴 마을의 목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서근(西近) | 1718년경(숙종대) | 선산김씨 |
해 남 | 서쪽 끝(뿌리)에 있다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장촌리
연혁
- 본래 완도군 팔금도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원마, 남리, 고교, 백계, 오림, 진패마을의 일부를 병합하여 장촌이라 해서 무안군 팔금도에 편입하였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- 1980년 면으로 승격되어 팔금면에 편입
형성
- 1638년경 전주최씨가 최초로 이주․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마을에 개울을 건너다니던 낡은 다리가 있어서 사근다리라 부르다가 이후 마을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하여 장촌이라 개칭하였다.
장촌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장촌(長村) | 1658년경(효종대) | 전주최씨 | 팔금도(원마) | 전에는 사근다리라 부르다가 이후 마을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원마(遠馬) | 1638년경(인조대) | 전주최씨 | 경기도(이천) | 전에는 원매동이라 부르다가 이후 원마로 개칭하였다. |
고교(古橋) | 1640년경(인조대) | 전주최씨, 진주강씨 김해김씨 |
팔금도(원마) | 마을 앞에 다리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백계(白鷄) | 1650년경(효종대) | 전주최씨, 김해김씨 양성이씨 |
팔금도(고교) | 흰 닭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소금목 | 1670년경(현종대) | 전주최씨 | 팔금도(고교) | 소금을 이고 다니는 길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진고리
연혁
- 본래 완도군 팔금도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둔봉, 오림마을을 합하여 진고라 하여 무안군 팔금도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- 1980년 면으로 승격되어 팔금면에 편입
형성
- 1588년경 이천서씨가 최초로 이주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긴 곳의 밑이 되므로 진구지라 부르다가 이후 진고라 개칭하였다.
진고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오림(烏林) | 1588년경(선조대) | 이천서씨 | 팔금도(대심) | 까마귀가 많이 산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둔봉(屯峰) | 양성이씨 | 해남 | 마을이 산봉우리가 모여있는 형상이라 하여 둔벌이라 부르다가 이후 둔봉이라 개칭하였다. | |
진고(眞古) | 1633년경(인조대) | 이천서씨 | 팔금도(대심) | 긴 곳의 밑의 되므로 진구지 또는 진구라 하였다. |
이목리
연혁
- 본래 완도군 팔금도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거문, 매리마을을 합하여 이목이라 하여 무안군 팔금도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- 1980년 면으로 승격되어 팔금면에 편입
형성
- 1588년경 진주강씨가 진주최씨의 데릴사위로 살면서 분가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.
지명유래
- 배나무가 많이 있던 곳이라 하여 배나무골 또는 배낭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이목이라 개칭하였다.
이목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이목(梨木) | 1588년경(선조대) | 진주강씨 | 팔금도(장촌) | 배나무가 많이 있는 곳이라 하여 배나무골, 배낭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이목이라 개칭하였다. |
거문도 (巨文島) |
김해김씨 | 팔금도(당고) | 마을에 학문을 아는 사람이 많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 |
매도(梅島) | 김해김씨 | 팔금도(고산) | 마을에 매화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|
당고리
연혁
- 본래 완도군 팔금도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거사동, 고산마을을 합하여 당고리라 하여 무안군 팔금도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
-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
- 1980년 면으로 승격되어 팔금면에 편입
형성
- 신당이 있는 곳이므로 당고지, 당구지라 부르다가 이후 당고라 개칭하였다.
당고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
마을명 | 형성년대 | 입도성씨(입도조) | 전 거주지 및 경유지 |
마을의 지명유래 |
---|---|---|---|---|
당고(唐古) | 1658년(효종9) | 김해김씨 | 팔금도(고산) | 당제를 모시는 곳이라 하여 땅구지라 부르다가 이후 당고라 개칭 하였다. |
고산(高山) | 1658년(효종9) | 동복오씨, 김해김씨 | 해남 | 높은 산이 있어 고산이라 붙여진 지명이다. |
거사도 (擧沙島) |
1981년 | 김해김씨 | 팔금(고산) | 모래가 많은 섬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|
'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'에 따라 본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와 저작권자 표시를 해야합니다.